데뷔앨범이 아닌 정규풀렝쓰작업에 셀프타이틀을 붙인다는건 지금까지의 커리어에 한번 매듭을 짓고 신작로를 내겠노라며 원대한 야심을 공표하는 출사표에 가깝다. 이 경우 아닌게아니라 실제로 이전과 구분되는 회심의 역작인 경우가 적지않은데 너무 유명한 몇몇 경우만 들어보더라도 밥 락의 영입을 통해 사운드레코딩에서 혁신을 이뤄냄과 동시에 스래시메탈의 차트 점령이라는 지상 상륙에 성공한 메탈리카의 91년작 "까망이". 그리고 직전까지의 뽀송뽀송한 브릿팝과 결별하고 노이즈 자글자글한 미국인디씬의 공기를 적극 흡수했던 블러의 97년작이 있다. 물론 그중에는 정규앨범 여섯장을 내는동안 단 한번을 제외하고 전부 셀프타이틀을 달아놓고는 메탈리카와 비틀스의 색깔놀이를 적극활용해 파랑이, 녹색이, 빨강이 등등으로 구분하는 위저도 있다.

윌코가 이년만에 내놓은 신작 wilco(the album)은 어떨까. 셀프타이틀이기도하고 아니기도하고 긴가민가 이러쿵저러쿵...

그렇다면  이번 신작도 2002년의 <yhf>처럼 지금까지의 경력과 단절을 이뤄내고 또 한번의 도약을 하고있을까.(중언이긴하지만 <yhf>는 2000년대를 대표하는 가장 중요한 다섯장, 아니 세장 안에도 들어갈만하다.)내 첫인상은 '전작보다 왠지 모르게 심심하다'였는데 <sky blue sky>가 단 두 곡을 빼고는 별로였으며(그 두 곡은 타이틀 트랙과impossilble germany였음) 그래서 신작이 더 좋은데 이전보다 훨씬 더 양키냄새가 짙다는 누군가의 코멘트를 듣고나서 곰곰이 생각해보니 내가 전작을 더 후하게 쳐주는 것도 역시 한 두곡, 더 정확히는 impossible germany때문이었던거 같다. 물리적으로나(곡길이) 감정적 여운으로보나 음반내에서 그 곡의 임팩트가 너무 컸던 나머지 앨범 전체에 대한 인상까지 결정해버린 것이다.

거칠게 분류를 해보자면 <sky blue sky>가 다소 분방할 정도로 판을 벌려놓은데 반해 <wilco(the album)>은 그 판을 주섬주섬 추스리는 느낌이다. <summer teeth>때도 그랬지만 <yhf>이후로 윌코는 지속적인 비평적 호의 속에서 얼트컨트리라는 카테고리를 완전히 떼어내고 가장 미국적인 락밴드 중 하나로 자리매김하며 몸사리지않고 마음껏 하고싶은걸 하는 축복을 누리고있다. (그리고 그때마다 짐 오루크처럼 적재적소에 필요한 조력자가 있기도했고.)<a ghost is born>에 실렸던 spiders와 <sky blue sky>의 impossible germany를 가장 명징한 예라고 할 수 있을텐데 십오년이상의 세월동안 꾸준히 팬과 비평가를 동시에 만족시키는 "불가능한 임무"를 장기수행해오면서 셀프타이틀의 의미를 모를 리없는 윌코는 이번에 오히려 심플하고 밋밋할 수도 있는, 마치 자신들의 밴드 이름만큼이나 간결하고 똑 떨어지는 노래를 만들고싶었던가보다. 여기엔 5분을 넘어가는 노래도 거의 없고,  웬만한 중견밴드의 히트곡 모음집같았던 <summer teeth>를 떠올리게할 정도로 귓가를 맴도는 의외의 "후크송"들도 자리하고있다. 제프 트위디는 여기에 대해 곡작업이 작년 미국대선기간동안 진행되면서 받았던 영향을 애써 부정하지않는다.("사람들이 행복해하는 모습이 내 마음을 움직였죠. ...만약 선거결과가 달랐다면 잘못된 방향으로 향하는 세상에서 이 노래들이 어떻게 살아남았을지 지켜보는 것도 흥미로웠을것 같군요." 뉴스위크 인터뷰중에서) 실제로 트위디는 몇년 전에 처음 알게된 이래로 지금까지 쭉 오바마와 연락을 주고받고있다고하는데 오바마와 트위디 둘다 각자의 영역에서 시카고라는 자신의 '지역구'에 보통 이상의 의미를 두고있는 대표적인 시카고 저명인사들로서 서로 격려하는가운데 같이 기운이 상승했나보다. (지난 몇년간의 투어와 경험 속에서 쓰였다고는하지만 사실 윌코 정도되는 규모의 밴드들에게는 전부 해당하는 사항이라고볼때 이런 발언은 사족에 불과하고 그렇다면 이번 음반을 전작들과 구분짓게하는 전반적인 분위기의 원인을 찾으려는 이들은 좀더 수고해야겠다.)

킹스 오브 컨비니언스나 케빈 드류(이건 일반적인 품앗이와는 좀 다른 경우지만)에서 보듯 단순히 셀링포인트 홍보나 예우차원이 아닌 알짜배기 품앗이를 해온 파이스트가 4번 트랙인 you&i에서 함께 노래를 불렀는데 특별한 고저강약없이 잔잔하게 흘러가는 이 노래에서 그녀의 목소리는 까슬까슬한 트위디의 그것과 큰 무리없이 주거니받거니하고있다. 역시 친화형 보컬로서의 면모를 유감없이 발휘한다고해야할까.(내가 파이스트 빠돌이라서만은 아니라는...)

왠지 고급패션지에나 실릴법한 꽤나 우아한 커버를 앞세운 wilco(the album)은 남녀노소 누구나 즐길 수 있는 국민밴드가 있다면 그런 밴드가 담보해야할 보편성이란 뭔지 살짝 보여준다. 아마추어가 섣부른 치기, 근거없는 자신당당함, 요란함으로 자신의 오리지널리티를 형용한다면 어깨에 힘을 뺀 농익은 프로의 무색무취함이야말로 프로뮤지션만이 갖출 수 있는 매력이자 미덕임을 이 음반은 몸소 웅변하고있다. 



그가 사랑했던 paris, 이렇게 생생한 그의 얼굴.
토요일 오후 <라이브앳시네>와 이 곡만 줄창 돌려듣고있었다.

while this town is busy sleeping
all the noise has died away
i walk the streets to stop my weeping
‘cause she'll never change her ways

don't fool yourself
she was heartache from the moment that you met her
my heart feels so still
as i try to find the will to forget her somehow
oh i think i've forgotten her now

her love is a rose pale and dying
dropping her petals and men unknown
all full of wine the world before her
was sober with no place to go

don't fool yourself
she was heartache from the moment that you met her
my heart is frozen still
cause i try to find the will to forget her somehow
she's somewhere out there now

(guitar solo)

oh my tears are falling down as i try to forget
her love was a joke from the day that we met
all of the words all of the men
all of my pain when i think back to when
remember her hair as it shone in the sun
the smell of the bed when i knew what she'd done
tell yourself over and over you wont ever need her again

But don't fool yourself
she was heartache from the moment that you met her
oh my heart is frozen still
as i try to find the will to forget her somehow
she's out there somewhere now

oh
she was heartache from the day that i first met her
my heart is frozen still
as i try to find the will to forget you somehow
cause i know you're somewhere out there right now

영화의 제목을 세심히 봐야한다. two lovers는 두쌍의 연인이 아니라 영화 속 남자주인공 레너드가 사랑하는 두 명의 연인을 지칭한다. 그렇다면 그 흔하디흔한 삼각관계 연애담인건가하면 그렇지는않다. 이 두 명의 여인은 서로의 존재를 알지도 못하고 그저 두 여자 사이를 시계추처럼 왔다갔다하며 저울질하기바쁜 남자 주인공이 있을 뿐이다. 그렇다면 요샛말로 고도의 어장관리중인 바람둥이의 얄팍한 연애 어드벤처? 그러나 또 그렇지만도 않다. 영화속 'two lovers'는 곧 'two worlds'인 것이다.

영화의 오프닝에서 레너드는 한겨울 강물에 뛰어든다. 사람들이 겨우 구해내고 정신을 차리자 그는 황급히 자리에서 일어서고 누군가 저사람 일부러 뛰어들었다고하자 내가 언제 그랬냐며 도망치듯 빠져나온다. 아버지의 세탁소에서 일하며 부모와 함께 뉴욕의 아파트에서 살고있는 레너드는 한마디로 정신이 불안정한 남자다. 그의 말에 따르면 이런 자신의 결함때문에 약혼이 파경을 맞은 후 곧바로 자살을 기도했던 전력까지있다고하지만 왠지 이 모든 설명에 그다지 믿음은 가지않는다.

그런 그에게 갑자기 같은 시기에 두 여인이 다가온다. 아버지의 세탁소를 (거창하게 말해서) 인수 및 합병하려는 인근의 대형 세탁소 체인점 오너의 딸 산드라와 자신과 같은 아파트 건물에서 홀로 살고있는 매력적인 금발 여인 미셸이 그들이다. 두 여인 모두 그에게 호감을 갖고있고 레너드는 두사람을 만나면서 실로 간만에 행복을 느끼지만 점점 시간이 흐르는가운데 두사람 중 하나를 선택해야하는 결단의 시간이 다가온다.

레너드는 미성숙한 청년이다. 흡사 10대 청소년의 그것을 연상시키는 어지러운 방안의 풍경과 즉흥적이고 기복이 심한 감정변화는 그가 정상적으로 타인과 관계를 맺기가 쉽지않음을 보여준다. 그가 유일하게 관심을 갖고있는 것이(아마도 전직이었을 것으로 보이는) 사진이라는 설정 역시 그가 논리나 이해보다는 즉물적인 것에 더 친화적임을 암시한다. 그런 점에서 두 여인의 존재는 레너드의 향후 인생의 진로에 대한 선택지를 은유하는데 철저히 부모님과의 관계라는 맥락 속에 위치하는 산드라와 우연이긴하지만 레너드가 한명의 개인으로서 주체적으로 관계를 맺은 미셸의 등장부터 이를 분명히 한다. 산드라와는 주로 레너드(가 아닌 그의 부모)의 집이나 그녀의 집에서 만나는데 반해 애니와는 나이트 클럽이나 그 누구의 소유도 아닌 아파트 옥상에서 주로 대화를 나눈다. 레너드는 산드라의 다정다감함을 좋아하지만 그러면서도 상사와 불륜을 맺고있는 미셸을 단호히 거부하지도못한채 점차 혼란스러워하는데 산드라가 선물한 장갑을 낀 손으로 미셸과 통화하는 장면은 이 혼돈의 절정을 표현한다. 

미셸이 상사와의 관계를 정리하면서 레너드와 미셸은 함께 샌프란시스코로 떠나기로하지만 동시에 산드라의 아버지 마이클은 산드라의 행복을 위해 레너드에게 두사람의 결혼을 권유함과 동시에 자신의 사업체 양도를 제안한다. 유사 이래 모든 로맨스의 남자주인공들(특히 우리나라 주말연속극의 남자주인공들)과 마찬가지로 누구와 짝을 맺을 것인가하는 문제는 어떤 인생을 택할 것이냐의 문제로 수렴한다. 그렇다면 이 닳고닳은 레퍼토리를 그 수많은 레퍼런스들로부터 구분하게하는건 남자주인공 캐릭터의 변별력일 터인데 그런 점에서 이 영화는 매우 영리하게 계산되어있다. 위장된 로맨스 서사 아래 제임스 그레이는 기실 레너드라는 남자가 도저히 벗어나지못하는 그 무엇(운명이라는 단어가 너무 포괄적이어서 섣불리 쓰기가 꺼려진다.)을 보여준다. 요컨대 이 영화가 그려내는건 로맨스가 아니라 개인으로서는 바꿀 수도 거부할 수도 없는, 그래서 철저하게 종속되는 개인인 것이다. 지금까지 일관되게 천착해온 범죄 스릴러 장르를 버린 제임스 그레이의 급격(혹은 과격)한 선회에 과한 비중을 두는 반응은 그래서 오진이다. 이전까지도 그레이의 영화에선 범죄보다 가족이 우선이었고 기실 그것이 그를 장르 감독으로 분류할 수 없게한다.(정말 그랬다면 그가 세계 유수의 영화제에서 그토록 번번이 초대를 받지는 못했으리라.) 러시아 마피아건 아니면 뉴욕시 경찰이건 면면히 내려오는 핏줄의 점성과 가족사로부터 벗어나지못한채 다시금 깊이 얽매이고마는 개인의 거대 서사로의 회귀야말로 제임스 그레이의 전매 특허가 아니던가. <two lovers>또한 (역시 그의 모든 주인공들처럼)여기서 한치도 벗어나지못하고있다. 

레너드는 한시도 부모의 눈길(이라기보다는 차라리 감시에 가까운)로부터 벗어지못한다. 어머니는 방문 밖에서 아들의 전화통화 하나에도 귀를 기울이며 사소한 행동 하나도 그냥 넘어가지않는다. 안그래도 자그마한 레너드의 아파트는 영화의 결말부에서 파티를 하면서 더욱 비좁아 보이는데 그 안에서 어디 한 곳 시선 둘 데가 없어 당황하는 레너드의 표정은 너무 긴장한 나머지 폭발하기 일보직전처럼 보인다. 이 지점까지오면 모든 것은 분명해진다. 레너드가 미셸과 떠난다는건 온전한 그의 독립을, 산드라와 결혼하는 것은 지금의 가족으로도 모자라 더 큰 가족으로의 편입을 의미한다. 세탁소라는건 예나 지금이나 일종의 가내수공업이라는 점 또한 빼놓으면 안되겠다. 

어찌보면 너무나 단순명쾌해보이는 이 간단한 도식을 두고 제임스 그레이는 뻔한 통속 로맨스가 아니라 흡사 유럽의 아트하우스 무비처럼 보이게하려고 나름 애쓰고 있다. 그러나 이곳 뉴욕엔 이미 실패한 연애를 그리는데 도통한 작가가 한 둘이 아니다. 유럽에서 꾸준히 관심을 받고있는 미국 작가주의 감독은  전형적 미드식 로맨틱 코미디의 홈그라운드 뉴욕을 마치 6,70년대 모더니즘 영화 속 유럽의 도시처럼 탈바꿈시키려고한다. 정신적으로 불안한 인간이 물리(그리고 물질)적으로도 부모에 종속되어있는 모습은 숨이 막힐 지경이다. 자신의 행적은 물론이고 속내까지도 숨기거나 속일 수 없는 비좁고 어두운 아파트를 보고있으면  그가 같은 뉴욕을 배경으로 하더라도 <인테리어>나 <9월>같은 고전적 실내극 연출가로서의 우디 앨런이나 존 카사베츠(혹은 다른 뉴욕 토박이 작가들 전부)에 빚지고있음을 짐작케한다. 

피닉스는 십여년간 이어온 제임스 그레이와의 파트너쉽의 결실을 비로소 맺고있다. 그 어느때보다 차분한 그는 자신이 그 나이 또래의 다른 주연급 배우와는 차별화된 연기 영역을 갖고있는 배우임을 온전히 증명해내고 있다. 그렇다면 향후 배우생활을 이어감에 있어 이러한 자신의 연기 스펙트럼을 받쳐줄 그레이같은 연출자가 필요할 것이다. 이자벨라 로셀리니는 젊은 시절과는 확연하게 인상이 달라졌는데 곱게 나이를 드셨다는 표현 외에는 다른 표현이 잘 생각이 안날 정도로 자애로운(?) 어머니 역할을 원숙하게 연기한다. 아들에 대한 굳건한 사랑과 이것이 과잉보호로 보이는 것은 종이 한 장 차이임을 그녀의 표정과 연기는 제대로 보여주고 있다.

마지막 장면, 결국 가족의 품으로 돌아온 레너드를 보고있자니 그레이가 무척 잔인해보인다. 낭만주의에 기반한 서사적 로맨스의 환상이란게 대개는 이렇듯 철저한 자기 기만에 기반한 실체없는 무엇일지 모른다는 속내를 직접적으로 보여주는 그 화법이 말이다. 그리고 또 하나, 모든 결혼은 어쩌면 차선일지 모른다는 냉소? 잔인하지만 무릇 대개의 사실이란게 그런 법이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