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선 오기 지적부터. <오징어와 고래>를 만든 이는 노아 봄바흐가 아니라 노아 바움백이고 데이비드 피스의 소설에 나오는 실존인물 주인공의 이름은 브라이언 클라우가 아니라 브라이언 클러프다.

이 책에서 첫번째 재미있었던 부분은 어떤 책을 어떻게 읽었느냐보다 책을 읽는 것 자체가 불러오는 심리적 부담감에 대한 혼비의 솔직한 고백이었다. 대개의 모든 일반독자들을 포함해서 책읽는걸 반쯤은 업으로 삼고있는 지식인(이라고 자처하는 사람들 포함)들이 크게 공감하리라 생각되는데 읽지도않을 책을 잔뜩 사들이고는 읽지못한 것에 대해 느끼는 죄책감과 무엇을 읽을까하는 고민, 읽고도 내용을 기억하지못하는 나쁜 기억력에 대한 한탄, 그리고 책을 읽지못했던 구구절절한 이유와 온갖 핑계들까지. 유명작가라도 살다보면 어쩔 수 없군하며 살짝 위로가 되었다고해야할까.

혼비는 여기서 '문예소설'을 말하고있는데 아무래도 우리 식으로 말하자면 '본격문학'을 지칭하고있는듯하다. 그도 대개 문예소설은 재미가 없다고 토로하고있다.

무릎을 치며 가장 크게 공감했던 부분은 퇴고과정에서의 소설분량 덜어내기와 다듬기에 대하여. 조금이라도 짧게 줄이는 것이 작가적 역량이자 미덕임을 강조하는 것은 그쪽도 마찬가지인가본데 여기에 대해 혼비는 정반대의 입장을 취하고있다. 왜 그렇게 줄이고 줄였는데도 꼭 마지막 최종 결과물은 딱 두툼한 장편한권정도가 되는가. 작가가 길게 쓰는데는 다 이유가 있는거라면서 그는 찰스 디킨스의 예를 들고있다. 그러면서 그렇게 줄이는걸 강조하는 것은 원래가 소설을 쓰는 일이 그리 남들에게 내세우고 자랑할만한 일이 아니기때문에 육체노동자의 그것에 준하는 치열함과 엄격함을 작가에게 강요한 결과라는 것이다. 책상에 앉아 소설쓰는 일이 사실 그리 남자다운 일이 아니라니. 이 얼마나 솔직하면서도 놀라운 통찰력이란 말인가. 그럼 맞는 말이긴하다. 아닌게아니라 어찌보면 남들 이리저리 뛰어다닐때 책상에 앉아 깨작깨작 종이를 채워나가거나 키보드를 두드리는 풍경은 밥벌이를 위해 치열하게 일하는 풍경과는 거리가 살짝 멀어보인다. 길게 써야한다면 길게 써야지 그걸 편집과정에서 굳이 또 줄이고 줄일건 뭐냐. 또한 이건 작가의 자존심의 문제와도 결부되는데 죽어라고 고생고생해가며 쓴 글을 듬성듬성 쳐내면서(혹은 족족 뽑아내면서) 편집자들은 겨우 냉혹한 시장논리를 들이민다. 그 시장논리중에는 요즘 독자들은 긴 글을 읽어내지못한다는 푸념도 있으리라 짐작되는데 그 주범으로는 영화와 tv 그리고 새로운 공공의 적으로 떠오른 인터넷이 용의선상에 올라있을 것이다. 물론 요즘 독자들의 인내심이 약해진건 어느 정도 사실인듯하고 그런 바람에 인터넷상에서 요즘 시쳇말로 '난독증'에 의한 살풍경을 자주 목격하기도하는데 엄밀히 말하자면 인터넷상에서 그렇게 치고박고 할때의 '난독증'은 의학용어로서의 난독증하고는 전혀 무관하다. 그저 자기가 읽고싶은대로 읽고 남의 말은 그냥 무시하는건데 이건 난독 자체가 문제라고는 결코 할 수 없고 그저 문해력 (literacy)의 저하 그 이상도 이하도 아닐 것이다.

어쨌든 이 책 자체는 재미있기도하고 없기도한데 우선 재미가 없는건 혼비가 소개한 책의 절반쯤은 우리나라에서 제목도 처음 들어보는 낯선 책들이어서 책 내용이 어떻다고 말해도 와닿지가않아서, 둘째는 역시 번역상의 문제인데 저자의 문체를 제대로 못 살린건지 아니면 아예 엉뚱하게 오역을한건지는 원문을 보지않았으니 알 수 없으나 하여간 그가 도대체 무슨 말을 하고싶어하는건지 문맥을 쫓기 어려운 문장들이 더러 눈에 보였다.(이것도 내 '난독증'때문인가?)

그의 독서취향은 아무래도 문학에 쏠려있다. 그리고 나는 요즘 좀처럼 문학을 읽어내지못하고있는데 이 책을 보니 영어권에서는 그야말로 재미있(어보이)는 문학책이 여전히 쏟아져나오고있나보다. 그쪽 출판계의 특징이 논픽션도 픽션처럼 써서 딱히 어느 쪽으로 분류하기힘든 책들이 많고 대개는 그런 책들이 더 재미가 있는데 여기 나오는 책들도 그런 류가 많고 다 읽고싶었다. 앞서말했듯 혼비도 '문예 소설'에서는 재미를 찾지못하고 장르소설과 논픽션들을 높게 쳐주고있다. 영미권이야 워낙에 장르소설과 논픽션의 전통이 유구하고 그렇다보니 좋은 책들도 많이 나오고있을테고 우리는 여전히 문학하면 본격문학이고 거기에 동시대의 현대문학은 도서 정보나 수요를 감당해낼 번역자의 부족같은 것 등이 겹쳐 소개가 덜되지않나싶은데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 책을 읽으며 놀란건 의외로 혼비가 언급하는 책들이 적지않이 우리 말로 번역되어있다는 점이었다. 몇 권은 적어놓았으니 향후 읽을 기회가 있겠지.

'레예스의 30미터짜리 캐넌슛보다 더한 감격을 전해준 책은 이번 달에 없었다'거나, 서포팅을 시작한 이래 처음으로 챔피언스리그 준결승 진출한데 대한 흥분을 떡하니 독서칼럼에 적는 열혈 구너 인증도 이 책을 읽는 또다른 재미였음을 밝혀둔다. 지난 시즌 3년만에 두번째 챔스 준결승에 올랐으니 5월에도 책은 덜 읽었겠군.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