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용자 삽입 이미지



94년 가을무렵, 그 해 칸느 황금종려상 수상작인 <펄프 픽션>의 전세계 최초 개봉을 앞두고 이 영화를 연출한 생소한 이름의 미국 출신 신인감독 퀜틴 타란티노가 직접 내한을 했었다. 영화잡지 <스크린>은(아직 씨네21 창간 전이다) 두 해 전 첫 장편을 세상에 내놓은 박찬욱이라는 신인감독을 붙여 두사람의 인터뷰(혹은 대담)를 성사시켰었다. (4년전 스크린에서 다시 이 기사를 전재했었고 나도 이 기사가 실린 2004년 7월호를 가지고 있는데 최근 이 기사가 모 블로그에 다시 전재되면서 다시금 화제를 모으기도 했었다.) 영화감독이기 이전에 열혈 영화광인 두사람은 그때도 b무비에 대한 애정을 숨기지않았는데 그때 타란티노가 몬티 헬만의 영화를 아직 못봤느냐며 박찬욱에게 자신이 돌아가면 테입을 보내주겠다고 주소를 적어갔는데 아직까지(그러니까 2004년 7월까지)소식이 없었다고 적혀있다. 물론 지금까지도 타란티노로부터는 기별이 없었으리라 짐작되는데 그때 말했던 영화는 혹시 <two-lane blacktop>은 아니었을까.

이 영화가 지금 와서 컬트로 분류되어 칭송받는 이유를 직접 보고나니 대강 알 것도 같았다. 자동차 영화이면서도 레이싱 장면은 거의 없는 차라리 로드무비인데다 이렇다할 갈등이나 사건도 없다. 관객을 위한 흥분제로 작용하기에는 턱없이 에너지가 부족하여 레이싱의 뜨거움보다는 한껏 낮추어진 서늘함이 쓸쓸하기까지하다. 속도에 탐닉하는 열혈남아들이 아니라 쿨하다못해 차갑기까지한 이름 모를 주인공 소년과 소녀는 너무 말이 없어서 묻는 말에 조차 제대로 한번 대꾸를 안한다.  

이처럼 조용한 남자들의 미처 표출되지못한 남성성은 그들이 타고 다니는 차에도 반영된다. 왠만한 차는 명함도 못내밀정도의 속도를 자랑하는 이들의 차는 셰비블록이라는 앤틱. 그냥 차가 좋을뿐인 두 남자는 무연히 차를 몰고 동쪽으로 향하는데 왜 떠나는지는 관객도, 주인공도 알 수 없다. 생면부지의 소녀가 태연히 차에 올라타도 아무것도 묻지않고 태운 채 같이 떠나고 길에서 만난 나이 든 드라이버 gto와는 즉흥적으로 레이싱대결을 시작한다.

이 영화가 나온 71년에는 또다른 자동차 영화의 걸작 <vanishing point>도 있었다. 그리고 묘하게도 두 영화 모두 비슷한 정서를 공유한다. 애초에 의도했던 목적지는 사라지고 가속도가 붙는 가운데 그저 눈 앞의 소실점 안으로 질주해들어가는 결말, 어색하다싶을 정도로 차분한 분위기 속에서 길에서 만난 이들과의 교유, 그리고 전반적으로 영화를 지배하고있는 상실감 같은 것들이 그러하다. 전세계가 동시에 들끓었던 60년대말을 거친 후 혁명과 열정의 불꽃이 사그라든 시점을 반영하기라도하듯 영화는 그렇게 풀이 죽어있다. 그러니까 등장인물들은 시대가 바뀐 줄도 모르는, 혹은 전혀 신경쓰지않는 좌절한 히피에 다름 아니다. 이제는 누구도 그들을 주목하지않으며 자신들도 과거의 열정을 잃은 채 그냥 차를 몰고 이곳저곳을 떠돌고 돈이 떨어지면 경주를 해서 여비를 해결한다. 그들에겐 예전처럼 같이 할 동료들이 많지는않지만 운이 좋아 길에서 만나면 너무나 쉽게 친구가 된다. 이 영화에서 흥미로운 지점도 바로 드라이버와 gto 사이의 여러 대비에 있다. 하루에 몇번씩이나 같은 스타일의 옷을 색깔만 바꿔 갈아입는 gto는 그가 얼핏 말했듯 대도시에서 왔다.(계속 말을 바꾸고있어서 쉽사리 믿기는 어렵지만) 머리도 짧고 어딘가 비즈니스맨처럼 보이는 외모를 한 채 그는 자신의 차에 대한 무한한 자존심을 뽐낸다. '드라이버'와 '메카닉' 그리고 '소녀'에게는 아버지뻘 되는 이 남자는 최신형 스포츠카를 모는 반면 아들 세대인 이들은 골동품 자동차를 운전한다. 자신의 과거를 들려주려는 gto에게 듣고싶지않다고 딱 잘라버리는 '드라이버'에게는 오직 현재만, 자신이 운전하는 이 차와 오늘 달려야할 거리와 불분명한 목적지만이 있을 뿐이다. 승패는 관심없으며 다른 누군가와 계속 달린다는 사실만이 중요할 뿐이다. 그러므로 이상의 사항들을 종합해보면 이 영화는 목적지없는 로드무비가 된다. 따라서 이 영화의 의의는 일반 레이싱 영화와는 다른데서 찾게되는데 온전한 '그들만의 공동체'를 과장하지않고 묘사한 하위 문화 캐리커처이면서 냉소적일 수 밖에 없었던 당시의 시대상을 향수어린 시선으로 바라보는 또하나의 뉴아메리칸 시네마가 바로 그것이다.


1.주인공으로 출연한 네 명의 배우 중 '드라이버' 역을 맡았던 제임스 테일러를 제외한 세 명이 모두 사망했는데 그 중 70년대의 명배우 워렌 오츠를 뺀 나머지 둘은 제 명을 채우지못한 죽음을 맞았다. 몬티 헬만이 발굴해낸 '소녀'역의 로리 버드는 이후 헬만의 차기작 <cockfighter>와 우디 앨런의 <애니홀> 출연 후 스물 다섯 나이에 자살을 했고 비치보이스의 윌슨 가문 출신인 데니스 윌슨('메카닉')도 서른 아홉 살에 익사했다. 여기서도 알 수 있듯이 워렌 오츠를 제외하고는 전부 비전문 배우였는데 영화 상에서의 신구세대의 대립 구도는 그대로 한 명의 전문 배우 VS 세 명의 비전문배우로 나뉜다. 이 영화를 찍을 무렵 스물 둘셋 정도였던 제임스 테일러와 스물 일곱이었던 데니스 윌슨은 상당한 미남들인데 요즘 제임스 테일러 사진을 보면 안습 그 자체. 세월의 풍화를 이겨낼 자 누가 있겠냐만은 이런걸 보면 자기관리라는거 정말 필요하다.

2.이 영화를 비롯한 70년대 영화를 보면서 든 생각. 이 시절 차들은 기본적으로 체형 자체가 상당히 슬림하고 그래서 무척 날렵해보인다. 그래서 그런지 충돌하면 너무 쉽게, 마치 종이장처럼 찌그러지고, 커브를 돌때도 드리프트라기보다는 차라리 슬라이딩한다는 표현이 어울려보일 정도로 불안해보이는데 그에 비하면 요즘 차들은 어떤 기종이라도 전부 기본적으로 무슨 장갑차나 보호차량처럼 묵직해보인다. 일단은 예전에 비하면 '기계식'이 아닌 '전자식'이라 온갖 전자부품들이 많이 들어가고 안전 강화를 위한 디자인과 고안된 장치들 때문일텐데 그러니 당연히 차 자체의 디자인이 예전보다는 몰개성적이고 어슷비슷해지면서 미감을 덜자극할 수 밖에 없다. <불리트>에 나오는 머스탱같은 자동차들은 이제 다시 볼 수 없는걸까.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