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after hours(1986)
일과후 남자는 우연히 카페에서 한 여자를 만나 집에 초대를 받고는 기분좋게 집을 나서지만 서서히 일이 꼬이기 시작한다. 쉴새없이 이곳저곳 돌아다니는데도 이상하게 꼭 같은 장소를 두번 이상 가게되고 만났던 사람을 두번 이상 만나더니 오해를 받아 쫓겨다니기에 이른다. 이 하룻밤의 소동이 결국 이 남자의 꿈일지도 모른다는 단서는 계속 출몰하고있는데 그렇다해도 이런 개꿈의 주인공이라면 좀 곤란할듯하다. 자기 집 열쇠와 술집 주인의 열쇠는 분명 다른 것임에도 왠지 같은 것처럼 보이고 내가 잃어버린 20달러가 조각가의 작품에 붙어있는 저것인 것만 같고 몇시간전만해도 사람들로 바글바글대던 클럽이 지금은 주인만 혼자남아 오늘밤은 손님이 하나도 없었다고 말하고있으니 정신 멀쩡한 우리의 주인공 어느새 비에 쫄딱 맞은 생쥐꼴이 처량하기그지없다. 마지막장면까지 보고나면 결국 이 영화의 주제는 다음과 같은 한마디로 정의할 수 있겠다.

"열심히 일한 당신, 딴생각말고 계속 일해라. 쉬지말고. 쭉!"

2.hollywood ending(2002)
왕년엔 오스카도 받았을만큼 잘나갔지만 이제는 퇴물인 발 왁스만은 이혼한 전처 엘리의 현남편 할 예거가 제작하는 영화의 감독을 맡는다. 감독으로서의 명성도 되찾고 더불어 엘리와 재결합하려 애쓰는 할. 근데 이게 웬일. 검사상 아무 이상이 없는데도불구하고 '심리적 실명'상태를 맞이한다. 겨우겨우 스탭들을 속여가며 영화를 만드는데 결과물은 보나마나 최악의 상황. 이제 완벽하게 준비된 실패를 눈앞에둔 상황에서 기적적으로 프랑스에서 이 영화의 가치를 알아보게되고 오래전부터 파리에 살고싶어했던 발은 엘리와 함께 파리로 떠나며 끝을 맺는다. 90년대중반을 넘어가면서부터 오스카와는 인연이 멀어졌지만 쉬지않고 한해에 한편꼴로 그것도 기본이상은 하는 영화를 만들고있는 우디 알렌 본인의 얘기에다가 영화와 영화산업을 동시에 조롱하는 깔끔한 메타영화로서 시치미 뚝떼고 영화 그 자체보다는 영화제작의 바깥쪽, 즉 제작자의 간섭, 가십 캐기에 바쁜 기자, 말만들기 좋아하는 비평쪽을 두루두루 꼬집고있다. "끝만 좋으면 다 좋은 법" 그게 바로 할리웃 엔딩이 아니겠느냐는 이 깜찍한 도발은 이바닥에서 누구보다 오래 살아남은 노장이기에 가능한 자신감이 아닐 수 없다.

3.margot at the wedding(2007)
구체적인 시간과 지명까지 들먹이면서(1986년 뉴욕 파크슬롭)자신의 이야기를 윤색해 중산층 가족의 붕괴와 그 과정에서 정신적 변화를 겪는 아이들을 그려냈던 노아 바움백은 이번에 두자매의 보이지않는 신경전을 떡하니 붙어서서 마치 리얼다큐처럼 묘사한다. 이번에도 반쯤은 자전적인 이야기가 아닐까싶은 의혹을 갖게되는 이 이야기에는 반쯤은 히피같은 동생과 맨해튼에 사는 전형적인 도시 지식인 마고를 대비가 아니라 일방적인 물고 물리는 관계로 그려내고있다. 둘만의 비밀을 늘 남에게 이야기하고다니며 주위 온갖 사물로부터 스트레스를 받고는 그것을 배로 되갚아버리는 신경질적인 마고의 캐릭터는 <오징어와 고래>에서 제프 다니엘스가 맡았던 역할과 어느정도 유사하다. 이번에도 여전히 어린 아들은 엄마와 이모를 지켜보며 어른들의 세상을 자기만의 방식으로 이해하게되고 어른들은 갈등과 반목과 화해를 거듭하면서도 끝내 진정한 화합을 이루지못한채 헤어지고만다. 저예산의 인디영화치고는 캐스팅이 화려한 편인데 시나리오 자체가 그런지몰라도 뭔가 대단한 연기를 보여줄만한 부분이 애초부터 적다. ciaran hinds같은 경우는 서점에서의 낭독회를 빼면 얼굴한번 제대로 나오지를 않고 잭 블랙의 캐릭터는 딴말 필요없이 그냥 평소 영화 속 그의 이미지들을 한데모아놓고 뭉쳐서 펼쳐놓은 매너리즘적 산물이다. 이런 비교적 화려한 캐스팅이 성공적인 전작이 있었기에 가능했다면, 여러 에피소드가 이어지는 플롯은 전작에 비하면 집중력이 떨어지는 편인데 그럼에도 뭘 얘기하고싶은지를 알아채기가 그닥 어렵지는 않다. 세련된 도시 사람들과 왠지 두렵기까지한 시골사람들 사이의 대조. 가족을 '배신'했던 이기적이기 짝이 없는 언니와 그로인해 고통받은 다른 가족들간의 갈등, 복잡한 사생활 속에서 갈피를 못잡은채 흔들리다가 결국 도망치다시피한 고향에서마저 모든걸 망쳐버리는 마고의 민폐스토리 정도. 내가 보기에 이 작품을 성공작이라 부르기 어려운 이유는 인디 영화 특유의 사변적 태도때문이라기보다는(거기에 더해) 오히려 더 확장할 수도 있었던 이야기를 너무 '쿨'하게 끝내버린데있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