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용자 삽입 이미지


혁명이 가능했던 시절이 있었다. 혁명이 가능하다고 믿었던 세대들이 있었다. 어떤 대통령 어떤 국회의원을 뽑을지에는 관심이 전혀 없어도 걸그룹의 우열을 논하며 싸우는데에는 익숙한, 그러나 진정 연대하는 방법은 전혀 모르는 우리세대애겐 애초에 요원해보이지만 하여튼 그런 시절이 있었고 그랬던 세대들이 있었다. 역사상 가장 최근의 혁명으로 기록된 68혁명. 이 영화에는 그 때 거리 위에 있었던 일군의 젊은이들이 나온다. 바리케이드를 만들고 차에 불지르고 돌을 던지고 손에 붕대를 감고 바리케이드 뒤로 숨어 망을 보다가 경찰을 피해 도망을 가고 그러다 쓰러진 동료(라고 쓰고 동지라고 읽는다)를 안전한 곳으로 옮기는, 지금보면 어떻게 저런게 가능했을까 싶은 그런 장면들.

베르톨루치의 <몽상가들>에 대한 불만으로부터 기획된 영화답게 여러모로 비교된다. 도대체 베르톨루치 영화속에 혁명은 어디있는거냐며 항변하듯 이 영화는 <몽상가들>이 끝난데서 출발한다. 혁명의 시작점에서 세명의 주인공 중 하나인 테오가 거리로 뛰쳐나가면서 <몽상가들>이 끝났다면 이 영화는 그 뒤 테오의 행적을 쫓듯 초반 30 분을 통째로 경찰과의 거리 위 대치장면으로 채워놓았다. <몽상가들>이 커다란 집안에서 육체와 관념의 유희에 빠져있던 주인공들이 마지막에 이르러서야 집밖으로 뛰쳐나가는 결말을 제시함으로써 소재주의에 함몰되 자멸했다면 <평범한 연인들>은 거리위의 가투로 초반을 시작해 그 이후엔 앙투안의 스튜디오에 모인 '동지'들의 권태로운 일상들로 채워간다. 그리고 여기서부터 영화가 비로소 진짜 이야기를 시작한다. 영화의 시작크레딧에조차 일체의 소리를 배제하고 가투장면을 다큐멘터리처럼 보이게 찍었던데반해 드라마가 본격적으로 시작되는 이 지점부터 배경음악도 삽입되는데 이러한 상반된 스타일의 시도 역시 표피적인 제스처만을 취했던 <몽상가들>이 보여주지못한 것을 전부 해내려는 것으로 보인다.

혁명은 실패하고 열패감에 사로잡힌 옛 투사들은 이제 마약과 연애 그리고 예술로 도피한다. 그 속엔 자본가 아버지를 둔 앙투안과 장 크리스토프 사이에 차마 계급갈등이라고 부르기조차 민망한 해프닝도 있고 예술에 대한 뜨거운 열정과 미적지근한 연애등 여러가지 사건이 있다. 하지만 자신만의 예술활동도, 정신의 쾌락도 오래가지못한다. 뉴욕으로 떠난 뒤 보낸 편지에서 릴리는 입국하자마자 일종의 사상증명을 했노라고 말하고 편지를 읽은 그날밤 꿈에서 프랑수아는 그제야 그녀에게 미처 보이지못한 진심을 고백하며 마지막 선택을 한다.

본디 혁명은 이념이 아닌 사람을 위한 것, 그렇기때문에 혁명전야의 흥분된 긴장감보다 그 이후의 미세한 변화들이 필립 가렐에겐 더 중요했던듯싶다. 혁명을 전후로한 삶의 변화가 그리는 궤적을 통해 영화는 몸 밖이 아닌 내면에 입은 상처를 그대로 내보인다. 모두가 혁명때문에 잠시 미루어놓았던 자신들의 삶을 다시 살기 시작할때 그들은 어찌할바를 모르고 당황한다. 자신이 추구하는 예술의 진정성을 의심하고 다른 평범한 이들의 삶을 흉내도 내보고 그 와중에도 끝까지 자신의 양심과 원칙을 고수하기도한다. 그래서 프랑수아와 릴리의 연애도 그렇게 뜨뜻미지근할 수 밖에. 애초에 연애가 혁명의 대체재가 될 수는 없으니까. 목숨을 걸고 쟁취하려했던 이상이 좌절된 젊은이에게는 이제 그 무엇도 조심스럽기만하다. 욕망하는 것을 전부 가질 수 없음을 뼈저리게 배운 프랑수아에겐 욕망과 윤리의 관계를 새로이 고민해야만했다. 그래서 릴리가 뉴욕으로 떠난다고했을때 프랑수아로서는 그저 "그럼 이제 난 어쩌지?"라는 말 그 한마디 이상은 할 수 없는 것이다.

덧1. 킹크스의 "this time tomorrow"를 배경으로 춤추는 장면이 나온다. 물론 아닐 수도 있지만 웨스 앤더슨이 이 영화를 보고나서 이 곡을 자기 영화에 쓴게 아닐까싶은데. 제작 시점에서도 몇년 차이가 안나기도하고. 이 곡이 다른 영화에서도 또 쓰인적이 있을까.

2. 러닝타임이 길어서 그런 탓도 있겠지만 의외로 새겨둘만한 아름다운 장면들이 많은 영화였다. 그중에서도 가장 마음에 들었던 장면. 가투가 끝난 새벽 집으로 돌아온 장 크리스토프가 어머니에게 자신들의 실패에 대해 넋두리를 늘어놓는다.
"노동자들이 포기하려해요. 노조가 부르주아보다 혁명을 더 두려워한다구요. 그들이 원하는건 급료인상뿐이에요. 그게 그들을 행복하게 만들어주기라도한다는듯이. 그들은 뭐가 더 중요한지 몰라요. 그렇지만 돈은 절대로 삶을 바꾸지 못하잖아요."
하지만 어머니는 아들의 말에 대꾸는 커녕 한번 제대로 쳐다보지도않은채 집안 청소에만 열심이다.
"오직 남은 질문은 이것 뿐이에요. 우리가 혁명을 완성할 수 있을까? 노동계급을 위해서? 노동계급을 무시하고서도?"
그제야 어머니가 입을 연다.
"그들은 바뀔거야"
"그렇지않아요. 아니에요."
그리고는 신발을 벗은채 소파에 누워 잠이 든 아들. 어머니는 침대에 가서 누우라며 방으로 보내고는 아들이 벗어놓은, 지난 밤의 치열함을 그대로 보여주는 먼지로 뒤덮인 신발을 손에 든다. 무심한듯보이던 어머니의 애틋함이 고스란히 느껴지는 장면이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