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개자두적탄생>

세계가 주목하는 몇안되는 (한때는 유일했던) 홍콩의 영화작가 두기봉의 밀키웨이 이미지의 97년도 창립작품. 별볼일없는 홍콩의 건달들은 본토와 대만 둘 중 한곳으로 건너가 한탕할 계획을 세우고 영화는 그들의 두가지 선택을 모두 보여준다. 홍콩판 인생극장? (우연인지몰라도 비슷한 시기 기네스 팰트로의 <슬라이딩 도어즈>도 있었다.) 홍콩 반환시점인 97년에 만들어진, 홍콩에서 상상하는 중국과 대만에 대한 나른한 백일몽. 이건 홍콩 탈출에 대한 강박일까 아니면 결코 피할 수 없는 도저한 패배주의의 무의식적 표출일까? 두기봉과 위가휘의 밀키웨이 이미지는 그렇게 시작부터 징후적이었다.

 

<공주복수기>

설렁설렁 만든 것 같아도 그 안에 온갖 상징과 장치들이 해석을 기다리고있는 것이 바로 팡호청 영화의 특징이고 이 작품 역시 예외는 아니다. 옛날 여자친구와 현재 여자친구가 의기투합해 한 남자에게 복수를 시도한다. 과연 여성간의 연대는 가능한 것일까? 인터넷에 누드사진이 올라 직장까지 잃은 영화 속 종흔동의 캐릭터가 몇년 뒤 그대로 그녀의 실제 현실이 됨으로써 이 영화의 다층성은 더 복잡해졌다.

 

<사대천왕>

미남배우 오언조의 무려 감독데뷔작. <스파이널탭>의 홍콩버전. 전부 서른줄을 넘긴 오언조와 그의 친구들은 뒤늦게 보이밴드를 결성해 데뷔한다. 홍콩쇼비즈니스 업계의 이면을 까발림과 동시에 연예인들의 자연인으로서의 모습을 노출하고 싶었던 것으로 보이는 그의 의도는 어느 것 하나 성공적으로 보이지는 않으나 신인 감독으로서 페이크 다큐멘터리의 공식들은 비교적 안전하게 그럭저럭 활용하고있다. 장학우, 양천화, 사정봉 등의 인터뷰 내용을 어디까지 사실로 볼 것이냐에 따라 영화의 스토리텔링과 영화 바깥의 사실간의 상호작용은 판이하게 달라진다.

 

<종무염>

밀키웨이 이후 두기봉의 필모에 대한 내 식대로의 평가는 이렇다. 최고 걸작은 단연 <흑사회>연작이고 가장 급진적이고 괴이한 작품은 무려 시체가 총을 쏘는 <진심영웅>이고 가장 돌발적인건 제목처럼 <비상돌연>이고 (영어제목이 expect the unexpected), 가장 폼을 많이 잡은건 <방축>이고 가장 실망스러웠던건 <복수>, 그리고 가장 애착이 가는 영화는 단연 <문작>이다. 그러나 가장 웃긴 두기봉 영화는 바로 <종무염>이다. 난 이 영화에서의 매염방만큼 익살맞은 여배우의 연기를 본 적이 없다. 그의 영화로선 파격적일만큼 긴 러닝타임을 갖고있지만 (무려 120분을 상회한다.) 매염방과 장백지 정수문 세 여배우와 임설 등 조연들의 연기는 홍콩식 앙상블 연기의 어떤 경지를 시전한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