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arxist-feminism에 의하면 현대핵가족은 자본주의체제 유지를 위한 도구로 기능한다. "세대적인 면에서의 인간 재생산과 매일 매일 노동자의 생계유지라는 이중의 과정을 포함한 노동력의 재생산과정 그리고 여성을 잠재적인 예비 노동군으로 사용함으로써(그만큼 쉽게 쓰고 쉽게 버릴 수 있는) 국가가 비용할 부담을 대신 짊어지는 효과를 갖는다." 물론 다른 모든 이론과 마찬가지로 이 이론도 여러가지 비판을 받는다. 우선은 실재 존재하는 가족구성원간의 자발적이고 진실한 애정과 연대를 어떻게 설명할 것이며 자본주의가 아닌 사회에서는 과연 정말 다른 가족 유형이 존재하느냐의 여부, 엥겔스의 표현을 빌면 단혼핵가족이 자본주의의 전형이고 주류라고 확신할 수 있느냐등등. 하지만 어떤 이론도 모든 걸 설명하지는 못하는법이고 맑시스트-페미니즘도 그중의 한가지 관점인데 충분히 설득력있고 타당하다고 생각한다.

고베의 항구마을. 아버지 어머니 그리고 아들 둘이 사는 어느 가정. 오늘도 아버지인 누마타씨의 관심은 아내보다는 아들들이다. 공부를 썩 잘하는 첫째 아들 신이치는 올해 명문인 세이부고에 들어갔다. 문제는 둘째인 시게유키, 공부에 영 소질도 없고 뜻도 없어보이는 막내 때문에 고민하던 누마타씨는 결국 가정교사를 고용한다. 정작 본인은 삼류대학을 그것도 7년째 다니고있으나 가정교사로서는 꽤 유능한 요시모토. 그는 자신만의 개성적인 교육법(?)으로 시게유키를 다루기 시작한다. 시게유키는 서서히 학교에서 내외적으로 변하기 시작하고 성적도 올라서 결국 자신이 원했던 진구 고교가 아닌 형이 다니고 있고 부모가 원하는 세이부고에 진학한다. 반면 신이치의 학교성적은 조금씩 하락한다. 시게유키의 입학이 결정되고 난 뒤 가족은 기념으로 요시모토와 마지막 저녁식사를 하는데 그 자리는 결국 괴상하게 끝나고 요시모토는 사라진다.

이건 정말 영화의 10분의 1도 다루지못하는 개괄적인 줄거리일뿐이다. 영화는 디테일이 강하고 세밀해서 작은 사건 하나도 놓칠 수 없고 등장인물들 모두 너무 세심하게 설정되어 있어서 줄거리와 상관없이 그저 그들의 행동을 보는 것만도 흥미롭다. 영화를 보면서 위의 맑시스트-페미니즘의 기본 가정이 떠오를 수 밖에 없었는데 성실히 회사에서 일하는 근면한 아버지, 열심히 공부해서 조금이라도 더 좋은 상급학교 진학을 '반드시' 해내야만하는 자식, 그런 그들을 먹이고 돌보고 정서적으로도 안정을 주고 부자 사이의 갈등을 완충해야하는 어머니까지 이 가족 구성원들 사이에서 사랑의 감정을 찾기는 쉽지않다.

각자의 위치에서 흩어져살다가 밥을 먹을때만 비로소 같이 모이는 문자 그대로의 '식구'가 그나마 현대 가족에 가장 들어맞는 개념임을 영화는 적나라하게 보여준다. 클라이막스인 마지막 식사장면을 포함해서 이 영화에는 유난히 밥먹는 장면이 많이 나오는데 그 그림이 정곡을 찌른다. 이 집안의 식탁은 옆으로 길고 폭이 좁은 특이한 모양을 하고있어서 가족들이 어쩔 수 없이 바싹 붙어앉아야만한다. 이 구조가 얼마나 상징적인지는 우리나라 tv 연속극과 비교해보면 된다. 우리 드라마에 나오는 식탁의 구조는 대개 가부장이 혼자 앉고 양옆으로 다른 식구들이 앉는 형태로 이 구조에서는 가부장의 얼굴만이 정면으로 보인다. 반면 이 영화의 식탁에서는(공원의 벤치를 떠올리면 쉽다.) 가족 구성원 모두의 정면을 볼 수 있는데 팔을 뻗기도 불편해보일정도로 다닥다닥 붙어앉은 그들을 보고있으면 '가족은 결국 밥을 같이 먹는 사람들일뿐'임을 확인하게된다.

문제의 마지막 식사장면. 막내의 진학을 축하하는 자리에서 아버지 누마타씨는 다시 요시모토에게 이제는 큰 아들인 신이치를 맡아달라고 부탁한다. 요시모토는 삼류 대학생이 일류 대학을 목표로하는 학생을 가르칠 수는 없다고 사양하지만 누마타는 물러서지않는다. 정작 주인공인 시게유키는 안중에도 없이 누마타는 계속 신이치에게 놀지말고 쉬지말고 공부하라고 다그치다가 결국 '사고'가 터진다.

클라이막스가 지나고 마지막 장면은 명백히 암시적이다. 낮잠이 들었던 누마타 부인은 어디선가 들려오는 헬리콥터 소리에 눈을 뜬다. 집안에는 아무도 없다. 누마타 부인은 창가로 다가가고 창을 열고 밖을 내다본다. 그리고 영화가 끝난다.

시게유키가 원하는 고교 진학을 한다고해서 이 가족이 바로 행복해질리는 만무하다. 이제 목표는 신이치의 대학 진학으로 바뀔테고 그 목표가 완수되면 다음은 시게유키의 대학진학, 신이치의 취업, 결혼으로 계속 이어지며 이 가족의 미션은 끝나지 않을 것이다. 자신의 삶은 저쪽으로 치워둔채 자식을 위해 희생하는 것이 못내 아쉬우면서도 거부하지 못하는 어머니. 고용인인 부모에게는 건실한 가정교사이지만 실은 특별히 가르치는건 전혀 없는 그저 감시자이자 훈육자일뿐인 요시모토, 그리고 성실한 가장이라는 겉모습 뒤로 계란 프라이를 쪽쪽 빨아먹는 아버지 누마타의 이상한 행동들은 과연 우리가 한 집에 산다고해서 진정 제대로 소통을 하고있는가를 되묻게한다.(이래저래 이 영화에서는 먹는게 어쨌든 중요하다. 요시모토는 물이든 음료든 소리를 내며 무조건 원샷으로 들이키는데 이 액션이 여러번 반복해서 나오고 있어서 눈에 띄지 않을 수 없다. 요시모토와 누마타 이 두 남자가 이 집안의 성인 남자들이라는 점)

애초부터 중산층이라는 개념은 일종의 허위의식에 가깝다. 국가는 중산층이라고 호명함으로써 당신을 체제에 편입시키고는 현실에 안주하고 그것을 정당화하고 눈앞의 부조리에 눈감게 한다. 중산층이 되면 이제 그들은 사회라는 유기체의 부분이 되어 그것이 잘 굴러가게끔하는 바퀴 역할을 할 뿐.

좋은 영화의 기준이 여럿 있겠지만 지금 영화를 보는 당신은 어떠냐고 계속 묻는 것도 그 기준의 하나라면 이 영화는 충분히 좋은 영화다.

덧1. 어처구니없게도 영화에서 누마타 부부가 차에서 대화를 나눌때 흘러나오는 라디오는 우리나라 뉴스 방송이다. 전두환 대통령이 어쩌구저쩌구. 알아듣지도 못하면서 그걸 계속 틀어놓는 것도 웃기고 그 뉴스 내용도 웃기고, 우리 말이 흘러나오는 상황 모두가 다 웃기다.

2. 마츠다 유사쿠 얘기를 안할 수 없다. 이 영화에서는 그래도 그나마 평범한 역할인데도 예의 마초기질(?)이 흘러나오는데 요즘 활동하는 그의 아들래미를 보면 그건 물려받지않은듯. 근데 류헤이는 아버지만큼의 인기는 없는건지.

+ Recent posts